PSS 슬레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SS 슬레만은 1976년 설립된 인도네시아 슬레만 지역의 축구 클럽이다. 2000년에 아마추어 리그에서 최고 리그로 진출했으며, 2006년 욕야카르타 지진으로 인해 시즌을 중단했으나 강등은 면했다. 2008년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 출범으로 프로화에 적응하지 못해 2부 리그에서 경쟁하다가 2012년 프로 팀으로 전환, 2018년 리가 2에서 우승하며 1부 리그로 승격했다. 홈 구장은 마구워하르조 스타디움이며, 열정적인 팬 문화를 자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가 1 (인도네시아) 구단 - 페르시자 자카르타
페르시자 자카르타는 1928년 VIJ로 창단되어 195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자카르타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페르세리카탄 시대 6회 우승, 2001년 리그 우승, 2018년 리가 1 우승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클럽으로 성장했으며, 자크마니아라는 팬덤을 보유하고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리가 1 (인도네시아) 구단 - 마두라 유나이티드 FC
마두라 유나이티드 FC는 인도네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2016년 페르시파시 반둥 라야의 소유권 이전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겔로라 라투 파멜링간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2024-25 시즌 AFC 챌린지 리그에 첫 참가하여 8강에 진출했다. - 1976년 설립된 축구단 - FC 이마바리
1976년 창단된 FC 이마바리는 오카다 다케시 감독의 '오카다 메소드' 도입과 꾸준한 성장을 통해 2024년 J2리그에 승격한 일본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소년 팀과 여자 축구팀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1976년 설립된 축구단 - 베카멕스 빈즈엉 FC
베카멕스 빈즈엉 FC는 베트남 빈즈엉성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V리그 1에서 4회 우승하며 베트남의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 인도네시아 축구에 관한 - 리가 1 (인도네시아)
리가 1은 인도네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여러 리그 통합 및 혼란기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승강제를 통해 리가 2와 교류하고, 스폰서십을 받아 "고젝 트래블로카 리가1"으로도 불리는 인도네시아 축구의 중심 리그이다. - 인도네시아 축구에 관한 - 페르시자 자카르타
페르시자 자카르타는 1928년 VIJ로 창단되어 195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자카르타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페르세리카탄 시대 6회 우승, 2001년 리그 우승, 2018년 리가 1 우승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클럽으로 성장했으며, 자크마니아라는 팬덤을 보유하고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PSS 슬레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페르세리카탄 세팍볼라 슬레만 |
약칭 | PSS |
별칭 | 수페르 엘랑 자와 (슈퍼 자와 독수리) 라스카르 셈바다 (셈바다 전사) |
창단일 | 1976년 5월 20일 |
홈 구장 | 마구워하르조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31,700명 |
소유주 | PT 푸트라 슬레만 셈바다 |
CEO | 구스티 란다 |
감독 | 마졸라 주니오르 |
리그 | 리가 1 |
웹사이트 | PSS 슬레만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녹색 상의, 흰색 하의, 녹색 양말 |
원정 유니폼 | 흰색 상의, 검정색 하의, 흰색 양말 |
최근 시즌 정보 | |
시즌 | 2023–24 |
순위 | 리가 1, 13위/18 |
2. 역사
1976년 욕야카르타주 슬레만 지역의 아마추어 축구 협회(페르세리커탄)로 설립되었다.[2][3][15] 창단 24년 만인 2000년에 당시 인도네시아 최상위 아마추어 리그에 진출했다.[2][3]
2006년 2006년 욕야카르타 지진의 영향으로 시즌을 완주하지 못했으나,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PSSI)의 결정으로 강등은 면제되었다.[2][3][15][16] 그러나 2008년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ISL) 출범 시 프로화 기준 미비 및 행정 문제로 인해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4][17]
팬들의 요구에 따라 2012년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였고,[4][17] 2018년 리가 2에서 우승하며 1부 리그로 복귀하였다.[4]
2. 1. 창단 초기 (1976년 ~ 2000년)
PSS 슬레만은 1976년 욕야카르타주 슬레만 지역을 연고로 창단된 아마추어 축구 클럽(페르세리커탄)이다. 이는 PSIM 욕야카르타와 퍼시바 반툴에 이어 욕야카르타주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클럽이었다. 창단 초기에는 인도네시아의 아마추어 리그 시스템인 페르세리커탄에 참가했다.창단 후 24년 만인 2000년에 페르세리커탄 대회의 최상위 리그인 리가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디비전(당시 1부 리그)에 진출했다.[2][3] 1999-2000 시즌 리가 인도네시아 1부 리그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2. 리가 인도네시아 시절 (2000년 ~ 2007년)
PSS 슬레만은 창단 후 24년 만인 2000년에 당시 인도네시아 아마추어 축구 시스템인 페르세리커탄의 최상위 리그에 진출했다. 이후 리가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디비전에 참가하며 본격적인 리그 활동을 시작했다.2001 시즌부터 2007-08 시즌까지 리가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디비전에 꾸준히 참가했다. 특히 2003년과 2004년에는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5년에는 피알라 인도네시아(당시 코파 인도네시아)에서 4강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발생한 욕야카르타 지진은 팀 운영에 큰 차질을 빚게 했다. 지진 피해로 인해 PSS 슬레만은 2006 시즌의 남은 경기를 포기해야 했고, 코파 인도네시아에서도 기권했다.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PSSI)는 지진 피해를 고려하여 PSS 슬레만을 포함한 욕야카르타 지역 팀들을 강등시키지 않았다.[2][3][15][16]
이 시기 PSS 슬레만의 주요 리그 및 컵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리그 | 컵 | ||||||||
---|---|---|---|---|---|---|---|---|---|---|
디비전 | 순위 | P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99–2000 | 리가 인도네시아 1부 리그 | 2위 | ||||||||
2001 | 리가 인도네시아 | 10위 (동부) | 25 | 8 | 3 | 14 | 22 | 40 | 27 | |
2002 | 리가 인도네시아 | 7위 (동부) | 22 | 8 | 6 | 8 | 22 | 19 | 30 | |
2003 | 리가 인도네시아 | 4위 | 38 | 16 | 12 | 10 | 48 | 43 | 60 | |
2004 | 리가 인도네시아 | 4위 | 34 | 14 | 11 | 9 | 39 | 37 | 53 | |
2005 | 리가 인도네시아 | 7위 (서부) | 26 | 10 | 4 | 12 | 22 | 32 | 34 | 4강 |
2006 | 리가 인도네시아 | 13위 (동부) | 26 | 6 | 5 | 15 | 18 | 40 | 23 | 기권 |
2007–08 | 리가 인도네시아 | 12위 (서부) | 34 | 12 | 10 | 12 | 42 | 43 | 46 |
2. 3. 2006년 자바섬 중부 지진과 시련
2000년 페르세리카탄 최상위 리그인 프리미어 디비전에 진출한 PSS는 해당 리그에서 6년간 활동했다. 그러나 2006년, 5,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천 채의 건물이 파괴되는 피해를 일으킨 2006년 욕야카르타 지진이 발생하면서 큰 시련에 직면했다. 이 지진으로 인해 PSS는 2006 시즌을 완주할 수 없었다.[2][3][15]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PSSI)는 PSS를 포함한 욕야카르타 지역의 세 개 축구팀을 강등시키지 않는 조치를 취했지만, 지진으로 인한 시설 파괴와 선수 및 관계자들의 개인적인 어려움 때문에 PSS는 남은 경기를 포기해야 했다.[2][3][16]지진의 여파 속에서 2008년,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ISL)가 출범하면서 PSS는 또 다른 변화에 직면했다. ISL은 참가 클럽들에게 완전한 프로화를 요구하며 지역 정부의 재정 지원으로부터 독립할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당시 PSS는 행정 시스템 정비가 미흡하고 여전히 정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ISL 참가 자격을 얻지 못했다. 결국 PSS는 새로운 최상위 리그에 참여하지 못하고, 2부 리그 격인 디비시 우타마(Divisi Utama)로 강등되었다.[4][17] 이는 클럽 역사상 첫 2부 리그 강등이었다.
2. 4. 프로화와 재도약 (2008년 ~ 현재)
2008년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ISL)가 출범하면서 인도네시아 축구계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새로운 리그는 참가 클럽들에게 프로화를 요구하며, 특히 지역 정부의 예산 지원에서 벗어나 재정적으로 자립할 것을 강조했다. 하지만 PSS 슬레만은 이러한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고, 행정적인 문제와 함께 여전히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다. 결국 PSS는 새로 개편된 최상위 리그 ISL에 참가 자격을 얻지 못하고, 기존 페르세리커탄의 명칭을 이어받은 2부 리그(Divisi Utama)로 강등되었다.[4][17]클럽의 강등과 프로화 실패는 팬들의 강한 반발과 변화 요구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팬들의 압박 속에서 PSS는 2012년, 클럽 운영을 전담하는 전문 법인 'PT Putra Sleman Sembada'를 설립하며 마침내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PSS가 다시 최상위 리그로 복귀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4][17]
프로화 이후 PSS는 꾸준히 1부 리그 승격을 목표로 노력했으며, 마침내 2018년 리가 2 시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염원하던 최상위 리그로의 복귀를 확정지었다.[4]
3. 경기장
PSS는 2007년부터 현재 홈구장인 마구워하르조 스타디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경기장은 1년 전 발생한 지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재개된 곳이다. 구단의 울트라 서포터들이 위치한 남쪽 관람석은 90분 내내 끊임없이 응원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하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열광적인 응원 구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5]
4. 팬 문화
PSS 슬레만은 충성스럽고 창의적인 팬들(울트라스)로 유명하다. 팀은 두 개의 주요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데, 북쪽 스탠드를 차지하는 슬레마니아[6]와 남쪽 스탠드의 브리가타 쿠르바 수드 1976(BCS)[7]가 그들이다. 현재 PSS의 모습은 팀 운영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온 팬들의 헌신과 깊은 관련이 있다. 더 오래된 팬클럽인 슬레마니아는 팀이 최상위 리그로 승격한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BCS는 PSS가 프로화를 준비하던 2011년에 등장했다.[8]
BCS는 아시아 최고 수준의 카드 섹션 응원(안무)을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PSS 구단 경영에 대한 엄격한 감시 역할로도 알려져 있다. BCS는 구단의 전문성 수준에 대한 실망감으로 2020년 리그 1 경기를 보이콧했으며, 클럽 운영 방식 개선을 위한 대대적인 구조 조정을 거친 후인 2021년에야 보이콧을 철회했다. 특히 BCS는 만원 관중 속에서 여성 관람객의 안전 문제에 주목하여, 스탠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여성 조직을 결성하기도 했다.[9][10][11]
Sampai Kau Bisa|삼파이 카우 비사ind(네가 할 수 있을 때까지)는 팬들이 경기가 끝난 후 부르는 대표적인 응원가이다. 이 노래는 클럽이 최상위 리그에서 자리를 잡기까지 겪었던 시련을 기억하며, 좋을 때나 어려울 때나 변함없는 팬들의 충성심을 상징한다. PSS 팬클럽은 경기 시간(90분) 동안 상대 팀에 대한 비방을 하지 않는 정책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축구계에서 가장 우호적인 울트라스 중 하나로 평가받는 이유이다. 그들의 응원은 오직 PSS 팀에 대한 격려와 동기 부여에만 집중된다.[12]
5. 우승 기록
- '''리가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디비전''' (과거 리그, Divisi Utama Liga Indonesia|디비시 우타마 리가 인도네시아id)
- * '''우승:''' 2013
- '''인도네시아 사커 챔피언십 B''' (임시 리그)
- * 준우승: 2016
6. 선수단
(내용 없음)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5일 기준)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비고 |
---|---|---|---|---|
4 | 브라질 | 수비수 | 클레베르손 | |
6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케빈 고메스 | |
7 | 대한민국 | 미드필더 | 문창진 | |
8 | 브라질 | 미드필더 | 베티뉴 | |
9 | 인도네시아 | 공격수 | 호키 카라카 | |
10 | 인도네시아 | 공격수 | 리키 카워르 | |
11 | 브라질 | 공격수 | 구스타보 토칸틴스 | |
12 | 브라질 | 골키퍼 | 앨런 베르나르돈 | |
14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레진 디오프 와무 | |
16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아흐마드 지단 | |
17 | 가나 | 수비수 | 필 오포수-아예 | |
19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파흐루딘 아리안토 | 부주장 |
23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김 쿠르니아완 | 주장 |
24 | 이탈리아 | 공격수 | 니콜라오 두미트루 | |
25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길랑 옥타바나 | |
26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페렐 아르다 | |
27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이르캄 밀라 | |
29 | 인도네시아 | 공격수 | 와유 아디 | |
31 | 인도네시아 | 골키퍼 | 사파아트 로마도나 | |
32 | 인도네시아 | 골키퍼 | 에가 리즈키 | |
33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와유디 하미시 | |
36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렐로사 리반 | |
38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이 뇨만 안사네이 | |
41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파들라 누르 아지즈 | |
44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알렉산더 쿠르니아완 | |
57 | 인도네시아 | 골키퍼 | 다빈 가니스와라 | |
74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파델 아흐마드 아라피 | |
76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도미니쿠스 디온 | |
77 | 인도네시아 | 미드필더 | 파울루 시탕강 | |
78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이판 난다 프라타마 | |
79 | 인도네시아 | 공격수 | 라스탄타 데스타 | |
87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아흐마드 피고 | |
88 | 인도네시아 | 공격수 | 앙가 페르펙타 | |
96 | 인도네시아 | 수비수 | 압두흐 레스탈후 | |
99 | 브라질 | 공격수 | 다닐루 알베스 |
6. 2. 주요 선수
wikitext
6. 3. 임대 선수
- 무하마드 파리즈 (수비수, PSIM 욕야카르타로 임대)
7. 역대 감독
wikitext
기간 | 이름 |
---|---|
1976–1994 | 미상 |
1995–1996 | 인도네시아 수와르노 |
1997–1998 | 공석 |
1999–2000 | 인도네시아 드르스. 밤방 누르족, 인도네시아 드르스. 헤르윈 샤흐루딘 |
2001–2002 | 인도네시아 수하르노 |
2003 | 인도네시아 유디 수르야타 |
2004–2005 | 인도네시아 다니엘 로에키토 |
2005 | 인도네시아 문다리 카르야 |
2005–2006 | 인도네시아 헤리 키스완토 |
2007 | 아르헨티나 호라시오 알베르토 몬테스 |
2007 | 인도네시아 루디 윌리엄 켈트예스 |
2008 | 인도네시아 이완 세티아완 |
2008 | 인도네시아 유디 수르야타 |
2008–2009 | 인도네시아 마만 두라흐만 |
2009–2010 | 인도네시아 얀스 에프라임 마트메이 |
2010 | 인도네시아 싱 베타이 |
2010 | 인도네시아 잉용 로롬불란 |
2010–2011 | 인도네시아 M. 바스리 |
2011–2012 | 인도네시아 위디안토로 |
2013 | 인도네시아 하나피 |
2013 | 인도네시아 유삭 수탄토 |
2013 | 인도네시아 라프란 프르바디 |
2014 | 인도네시아 사르토노 안와르 |
2014 | 인도네시아 헤리 키스완토 |
2015 | 인도네시아 자야 하르토노 |
2015 (독립 기념 컵) | 인도네시아 디디크 리스티안타라 |
2016–2017 | 인도네시아 프레디 물리 |
2017 | 인도네시아 세토 누르디안토로 |
2017–2018 | 인도네시아 헤리 키스완토 |
2018–2019 | 인도네시아 세토 누르디안토로 |
2020 | 스페인 에두아르도 페레즈 모란 |
2020–2021 | 세르비아 데얀 안토니치 |
2021–2022 | 인도네시아 푸투 게데 |
2022–2023 | 인도네시아 세토 누르디안토로 |
2023년 4월–10월 | 루마니아 마리안 미하일 |
2023년 10월–11월 | 벨기에 베르트랑 크라손 |
2023년 11월–2024년 6월 | 세르비아 리스토 비다코비치 |
2024년 6월–10월 | 일본 와그네르 로페스 |
2024년 10월– | 브라질 마졸라 주니오르 |
참조
[1]
웹사이트
Organisational chart
https://pssleman.id/[...]
Perserikatan Sepakbola Sleman
2021-08-20
[2]
웹사이트
Profile
https://pssleman.id/[...]
2021-11-06
[3]
웹사이트
PS Sleman dan Gempa Jogja 2006
https://sleman-footb[...]
2017-05-27
[4]
웹사이트
PSS Sleman Juara Liga 2 2018
https://www.pssi.org[...]
2021-11-06
[5]
Citation
Chant BCS Tribun Selatan Maguwo – PSS Sleman Vs Persib Bandung Shopee Liga 1 2019 Live (Lirik)
https://www.youtube.[...]
2021-11-06
[6]
문서
slemania.or.id
[7]
문서
bcspss.com
[8]
웹사이트
Slemania: Pendukung Setia PSS Sleman
https://www.lgosport[...]
2023-11-11
[9]
웹사이트
Brigata Curva Sud 1976: The Best Ultras in Asia versi Copa90
https://football-tri[...]
2021-11-06
[10]
웹사이트
BCS Hentikan Aksi Boikot, Hubungan PSS dengan Suporter Mencair
https://timlo.net/ba[...]
2021-11-06
[11]
웹사이트
Perbaikan Manajemen PT Putra Sleman Sembada Mendapat Apresiasi Dari BCS
https://pssleman.id/[...]
2021-11-06
[12]
웹사이트
The Fans Who Make Football: PSS Sleman
https://www.aljazeer[...]
2021-11-06
[13]
웹사이트
Squad PSS Sleman Liga 1 2023–2024
https://ligaindonesi[...]
2021-08-18
[14]
웹사이트
Organisational chart
https://pssleman.id/[...]
Perserikatan Sepakbola Sleman
2021-08-20
[15]
웹사이트
Profile
https://pssleman.id/[...]
2021-11-06
[16]
웹사이트
PS Sleman dan Gempa Jogja 2006
https://sleman-footb[...]
2021-11-06
[17]
웹사이트
PSS Sleman Juara Liga 2 2018
https://www.pssi.org[...]
2021-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